카테고리 없음

홈택스 근로소득명세서: 지급받은 총액과 소득금액 차이, 왜 발생할까?

★→←★ 2024. 12. 17.

국세청 홈택스에 들어가 근로소득명세서를 확인하면 '지급받은 총액'과 '소득금액' 사이에 차이가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특히 그 차이가 몇백만 원 이상 발생할 경우 혼란스러울 수 있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두 금액의 차이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그 원인과 개념을 자세히 설명해드리겠습니다. 😊


1. 지급받은 총액과 소득금액의 정의

① 지급받은 총액이란?

‘지급받은 총액’은 근로자가 1년 동안 회사로부터 받은 총 급여액을 의미합니다.

  • 기본급뿐만 아니라 수당, 상여금, 인센티브 등 포함
  • 여기서 비과세 소득(식대 비과세, 자가운전 보조금 등)은 제외됩니다.

즉, 세전 총급여액을 뜻하며, 실제로 회사에서 급여 명세서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금액입니다.

② 소득금액이란?

‘소득금액’은 지급받은 총액에서 근로소득공제를 차감한 나머지 금액입니다.

  • 필요경비 성격으로 공제되는 금액
  • 과세 대상 소득(세금을 매기는 기준이 되는 소득)을 계산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지급받은 총액과 소득금액의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는 바로 근로소득공제 때문입니다.

근로소득공제란?

근로자가 근로를 제공하면서 발생하는 기본적인 비용을 인정해주는 제도로, 지급받은 총액(총급여)에서 일정 금액을 공제해 줍니다.

공제 기준:
총급여액에 따라 정해진 비율과 금액을 공제합니다.

총급여액 구간공제금액

500만 원 이하 총급여액의 70%
500만 원 초과~1,500만 원 350만 원 + 500만 원 초과 금액의 40%
1,500만 원 초과~4,500만 원 750만 원 + 1,500만 원 초과 금액의 15%
4,500만 원 초과~1억 원 1,200만 원 + 4,500만 원 초과 금액의 5%
1억 원 초과 2,000만 원 (한도)

3. 지급받은 총액과 소득금액의 예시

예를 들어, 연간 총급여액이 4,000만 원인 근로자의 경우를 살펴보겠습니다.

  1. 지급받은 총액: 4,000만 원 (세전 기준 총급여액)
  2. 근로소득공제 계산:
    • 750만 원 + (4,000만 원 - 1,500만 원) × 15%
    • = 750만 원 + 375만 원
    • = 1,125만 원
  3. 소득금액:
    • 지급받은 총액 4,000만 원 - 근로소득공제 1,125만 원
    • = 2,875만 원

따라서 지급받은 총액 4,000만 원과 소득금액 2,875만 원 사이에 1,125만 원의 차이가 발생하게 됩니다.


4. 소득금액의 의미

소득금액은 세금을 부과할 기준이 되는 소득을 의미합니다.

  • 연말정산 시 세액 공제를 계산하는 기준 금액
  • 근로소득 외에 다른 소득(사업소득, 기타소득 등)이 있다면 종합소득금액으로 합산됩니다.

소득금액 ≠ 내가 실제로 저축한 돈
많은 분들이 소득금액을 1년 동안 쓰고 남은 돈으로 오해할 수 있지만, 이는 정확하지 않습니다. 소득금액은 세금을 매기기 위해 계산된 금액이므로 실제 사용한 금액과는 다릅니다.


5. 근로소득공제와 관련된 자주 묻는 질문 (FAQ)

Q1. 근로소득공제는 왜 적용되나요?
A: 근로자가 일을 하면서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필요 경비를 인정해 주기 위해서입니다.

Q2. 소득금액은 세전 소득인가요?
A: 소득금액은 총급여에서 근로소득공제를 차감한 금액으로, 과세 대상 소득을 의미합니다. 세전 금액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Q3. 비과세 소득은 지급받은 총액에 포함되나요?
A: 아니요. 식대(월 10만 원 한도), 자가운전 보조금 등 비과세 항목은 지급받은 총액에서 제외됩니다.

Q4. 지급받은 총액과 소득금액의 차이가 너무 큰데, 확인해야 할 사항이 있을까요?
A: 급여 명세서와 홈택스 소득명세서를 비교해 비과세 소득근로소득공제 항목이 제대로 반영되었는지 확인하세요.


6. 결론: 지급받은 총액과 소득금액의 차이 이해하기

지급받은 총액은 회사에서 1년 동안 근로의 대가로 지급한 세전 총 급여액입니다.
소득금액은 총급여에서 근로소득공제를 차감한 금액으로, 세금을 부과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금액입니다.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는 근로소득공제가 적용되기 때문이며, 이 금액이 과세표준 산정에 활용됩니다. 혼란스러울 수 있지만 개념을 이해하면 연말정산이나 세금 계산 시 큰 도움이 됩니다.

이 포스팅이 도움이 되셨나요? 추가로 궁금한 점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