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입하의 뜻, 의미, 그리고 속담

write2076 2024. 7. 19.

입하의 뜻과 의미

입하(立夏)는 24절기 중 일곱 번째 절기로, 여름이 시작됨을 알리는 중요한 절기입니다. 매년 양력으로 5월 6일 무렵에 해당하며, 태양이 황경 45도에 위치할 때입니다. 이 시기는 봄기운이 완전히 사라지고 여름의 기운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시기입니다​.

 

입하의 뜻, 의미, 그리고 속담 - 입하의 뜻과 의미

 

입하를 맞이하면 산과 들에 신록이 물들고, 개구리 소리가 들리기 시작하며, 밭에는 보리 이삭이 패고, 논에서는 모내기가 시작됩니다. 이 시기에 농가에서는 해충을 고르고 풀을 뽑는 등 분주하게 농사 준비를 합니다​.

입하와 관련된 속담

입하와 관련된 속담은 주로 농사와 관련이 깊습니다. 몇 가지 대표적인 속담을 소개합니다:

  1. "입하 바람에 씨나락 몰린다": 입하 무렵에 못자리를 할 때 바람이 불면 씨나락이 몰리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못자리 물을 빼야 한다는 뜻입니다​.
  2. "입하 일진이 털 있는 짐승날이면 그해 목화가 풍년 든다": 겨울에 눈이 많이 오는 해는 목화가 풍년이 든다는 뜻입니다.
  3. "입하 물에 써레 싣고 나온다": 입하가 되면 모심기가 시작되므로 농가에서는 써레를 들고 나와 일을 시작한다는 의미입니다​.
  4. "입하에 물 잡으면 보습에 개똥을 발라 갈아도 안 된다": 입하 무렵에 물을 잡으면 한 달 동안 가두어 두기 때문에 비료 손실이 많아 농사가 잘 안된다는 뜻입니다​.

이와 같은 속담들은 옛날 농경 사회에서 농사 일정을 계획하고 자연의 변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입하에 먹는 음식

입하에는 봄철 제철 음식들이 많이 먹힙니다. 대표적으로 쑥, 냉이, 달래 등의 봄나물이 있으며, 감자, 조개류 등이 포함됩니다. 이들 음식은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하여 피로 해소와 면역력 향상에 도움이 됩니다.

 

 

입하는 여름의 시작을 알리는 절기인 만큼, 이 시기에 자연의 변화를 잘 관찰하고 이에 맞춰 생활하는 지혜가 담겨 있습니다. 이러한 전통적인 지식을 통해 농사는 물론이고 일상 생활에서도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