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연말정산 환급액 계산, 30만 원 맞는 걸까?

★→←★ 2025. 2. 3.

연말정산에서 신용카드·체크카드·현금영수증 사용액에 따른 소득공제는 한도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사용액이 많더라도 환급액이 기대보다 적을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 상세히 분석해드릴게요.


1. 신용카드·체크카드·현금영수증 소득공제 한도

📌 연봉 3,500만 원 기준으로 공제 한도를 확인해 보겠습니다.

  • 신용카드, 체크카드, 현금영수증 등 총 사용금액이 연봉의 25%를 초과한 금액에 대해 공제
    • 연봉 3,500만 원 × 25% = 875만 원 (이 금액을 초과해야 공제 가능)

💳 본인 사용 내역 (초과 금액 확인)

사용 항목사용 금액공제율공제액

신용카드 3,400만 원 15% (3,400 - 875) × 15% = 379만 원
체크카드 500만 원 30% (500 × 30%) = 150만 원
현금영수증 1,150만 원 30% (1,150 × 30%) = 345만 원

🔹 합산 공제액: 379 + 150 + 345 = 874만 원
🔹 소득공제 한도: 300만 원 (연봉 7,000만 원 이하 근로자의 신용카드 소득공제 한도)

➡ 따라서, 공제받을 수 있는 금액은 최대 300만 원까지만 적용됨.


2. 예상 환급액 계산

연말정산에서 소득공제는 세금 감면 효과를 주지만, 직접적으로 1:1 비율로 환급되는 것이 아닙니다.

📍 연봉 3,500만 원의 기본 세율:

  • 연봉 3,500만 원의 과세표준은 대략 1,500만 원 정도
  • 적용되는 세율: 6% 구간

📍 세금 감면 효과

  • 소득공제 300만 원 × 6% = 18만 원 세금 감면
  • 여기에 기타 공제 항목(의료비, 교육비, 기부금, 보험료 등)에 따라 추가 환급 가능

➡ 최종적으로 예상 환급액이 30만 원 내외로 나올 가능성이 높음


3. 환급액이 적게 나오는 이유 정리

  1. 소득공제 한도가 300만 원이라 초과 사용액은 반영되지 않음
  2. 소득세율(6%)이 낮아 공제받는 금액도 크지 않음
  3. 카드 공제는 세액공제가 아닌 소득공제라 환급액이 직접적으로 크지 않음

4. 더 많은 환급을 받으려면?

💡 세액공제 항목을 챙기세요!
연말정산에서 직접적인 환급을 늘리려면 소득공제가 아닌 세액공제 항목을 활용해야 합니다.

세액공제 항목 예시

  • 연금저축·IRP 납입 (연 700만 원 한도, 13.2~16.5% 세액공제)
  • 의료비 세액공제 (본인 부담 의료비 15% 공제)
  • 교육비 세액공제 (본인, 자녀, 배우자 교육비)
  • 기부금 세액공제 (15~30%)

📢 TIP:
이번 연말정산에서는 환급액이 크지 않지만, 다음 해에는 세액공제 항목을 적극 활용하면 환급액을 늘릴 수 있습니다! 😊

댓글